연말정산 시즌입니다
그런데 이 연말정산이 예전보다 올해 2023년 훨씬 개선이되고
혜택도 많아지고 좋아졌다고 하는데요
작년 3월 윤석열 정권이 들어서고 이제 곧 1년차로 접어드는데,
윤석열 정권이 들어선 이후 해가 바뀐 탓일까요
실패하고 국민들 힘들게 했던 문재인 전 정권보다 훨씬 달라지고 좋은점들을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정권교체를 하니 이렇게 피부로 와닿게 좋아지네요
정말 국민의힘이 정권교체하기를 잘했죠?^^
2023년도에는 어떤점들이 바뀌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하면 편리하게 할수 있을까요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꼭 보고 편하게 연말정산하세요
2023년 연말정산 내용 총정리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점
기존의 간편인증 7종에서 4종이 추가
총 11종의 간편인증 방법
기존
카카오톡
통신사 pass
삼성 패스
국민 은행
페이코
네이버
신한은생
추가된 4종의 인증 방법
토스
하나 은핸
농협
뱅크 샐러드
올해 연말정산부터 보건복지부와 국가 보훈처에서 수집한 장애인 증명자료를 간소화 자료로 제공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 확대
작년에 신용카드 사용액 5%가 넘게 증가한 경우
기존의 공제율은 10%에서 2023년부터는 20%가 공제됩니다.
단, 100만원 한도내에서 추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총 급여의 25%를 넘어야 해요
대중교통 이용액 공제율 확대
작년 하반기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80%까지 돌려받을수 있다고 해요
기존의 공제율은 40%였다면
올해 2023년 연말정산부터는 80%까지 공제받을수 있어요
무주택 근로자 월세액 공제율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의 경우
개정전
월세액에 12% 공제
올해 2023년부터는
월세액에 17% 공제
총 급여 7천만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의 경우
개정전
월세액에 10% 공제
올해 2023년 부터는 월세액에 15% 공제
단,
월세 세액 공제를 받으려면 작년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
세대주로서 총 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여야 한다고 해요
주택 임차 차입금 공제 한도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가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
차입한 자금의 공제 한도 확대
기존의 공제 한도 300만원에서
올해 2023년부터는 400만원으로 상향조정됩니다.
*작년 12월 31일 기준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가
주택법에 따른 국민주택규모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임차하기 위해
대출기관 등에서 주택 임차자금을 차입하고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을
지급하는 경우 상환액의 40%를 400만원 한도로 소득에서 공제합니다
임신과 출산 관련한 의료비 공제율에 대한 정보
난임 시술비의 세액 공제율
기존의 공제율은 20%
올해 2023년부터는 30%로 상향조정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관련 의료비의 경우
기존의 공제율 15%
올해 2023년부터는 20%로 상향조정됨
기부금 세액공제율의 확대
기부금 1천만원 이하
기존 공제율 15%
올해 2023년부터는 20%로 상향조정됨
기부금이 1천만원 초과시
기존의 공제율은 30%에서
올해 2023년부터는 35%로 상향조정됩니다
이렇게 좋아졌어요 여러분
확실히 정권교체가 되니
정말 나라가 올바르게 돌아가는거 같아요
이게 나라죠
정말 문씨 나쁜 사람...
윤석열 대통령님...
고생이 많으십니다..
문재인씨가 망쳐놓은 대한민국 열심히 수선해주시느라..
이렇게 국민의힘으로 정권교체후
연말정산부터 좋아진 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시사 정치 경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전세앱 어플로 전세사기 사전에 예방 국토교통부 제공 (0) | 2023.02.09 |
---|---|
2023년도 청년 주택청약 내용 총정리 (0) | 2023.01.30 |
2023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및 신청방법 알려드려요 (0) | 2023.01.19 |
가전제품 구입비용 환급제도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1.10 |
실생활에 도움되는 기초 경제용어 16가지 (0) | 2022.12.04 |
댓글